건폐율이란?
대지면적 가운데 최대한 건축을 할 수있는 면적을 나타내는 비율을 말한다.
건폐율이 높다 낮다의 기준 !
그림을보면 이해하기 쉬워요.

건폐율이 높아요!
보통 서울 도심이 이런식으로 생겼죠. 일조량도 부족하고 쾌적하지 않게 따닥따닥 붙여서 지어진 곳 즉 거의 도시의 모습

건폐율이 낮아요!
이런 경우는 보통 지방의 모습이죠. 주차도 편하게 댈수 있고, 일조량이나 쾌적함이 좋은 .
계산하는 방법은?

대지면적이랑 건축면적 구분하기!

위 그림을 보고 계산하는 방법!
건축면적/ 대지면적 =건폐율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
용적률이란?
대지면적[땅]위의 건축물 비율을 말하는데,
지하는 포함 안되고 1층부터 포함합니다.

땅 위의 건물 층수 면적 더한거

지하층 빼고 더한건물 층수 면적 나누는거.
용적률이 높다는건 같은 크기의 땅에
건물의 높이가 높은것. 층수가 높다는것
건물의 높이가 높을수록 나중에 재건축하기 힘들어져서 재건축을 노리는 분들은 이런 아파트는 좀 피하는게 좋겠죠. 300프로 넘는걸 보통 피한다고 하네요!?
나중에 재건축을 할때 그안에 사는 사람들이 많으니깐 가져갈수있는게 적어지고?
허가나기도 힘들구요. 즉 수익성이 떨어지니깐 안하려 하겠죠.
+++++
부린이라 아직 배우는 단계입니다. 댓글로 좀더 알려주셔도 좋고, 틀린것도 알려주셔도 좋구요 , ^^
감사합니다
'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무주택자 . 생애최초특별공급 민간분양. 젊은층 청약당첨 조건. (30) | 2020.07.21 |
---|---|
대출 상환 방법에 따른 분류 (34) | 2020.07.19 |
무주택자. 서울 그린벨트 지역에 관심집중 (40) | 2020.07.11 |
청년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 (22) | 2020.07.11 |
보금자리론 재신청 가능할까 ? (0) | 2020.06.29 |